image.png

<aside> 💡

목차


</aside>

DNS 동작 방식을 직접 이해해 봅시다!

Public DNS와 Private DNS

해당 실습을 통해 DNS(Domain Name System)의 기본 원리와 함께 Public DNS와 Private DNS가 함께 사용될 때 호스트는 DNS 정보를 어느 시점에 참조하는가?? 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보았으면 하는 마음에 정리해본 문제입니다.

DNS란 무엇일까요?

모두가 아시겠지만… 한번 더 사전적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NS는 웹사이트 주소(예: google.com)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42.250.190.14)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화번호부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DNS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루트 DNS 서버, TLD(Top-Level Domain) 서버, 권한 있는 DNS 서버로 나뉩니다.

자, 그럼 이제 Public DNS와 Private DNS을 함께 사용하는 문제를 풀어봅시다..

이번 문제에서는 Public DNS와 Private DNS가 함께 사용되는 환경에서, 호스트는 어떤 DNS 서버를 먼저 참조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와 같은 환경을 가정합니다.

  1. 윈도우 VM: 기본 DNS 서버로 우분투 서버1을 사용합니다.
  2. 우분투 서버1:
  3. 우분투 서버2:

이 상황에서 윈도우 VM이 특정 도메인에 접속하려고 할 때, 어떤 DNS 서버를 거쳐 최종 IP 주소를 얻게 되는지, 각 서버의 역할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